본문 바로가기
STOCK 기업분석

테슬라 주가, 관세 리스크에 흔들릴까?

by 루비파이낸스 2025. 4. 8.

 

 

최근 (25. 04. 03)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정책이 발표되면서

글로벌 주식 시장이 요동치고 난리입니다.

특히 전기차 산업의 선두주자 테슬라 Tesla 또한

관세 리스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데요.

 

테슬라 주가의 최근 동향과 관세 정책이 미치는 영향,

이에 따른 리스크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테슬라 주가 흐름 요약

[출처:Investing.com]

 

25년 들어 테슬라 주가는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4월 초! 

미국의 관세 강화 발표 이후 급락세를 보여주는데요.

 

25년 4월 7일 기준

테슬라의 주가는 전일 대비 2.56% 하락한

$233.29를 기록했습니다.

 

테슬라의 주가 차트를 10년 이상 길게 보면

코로나 이후로 쭉 급등하고 

그 이후로는 꾸준히 성장하기보다는

박스권에 갇혀 있다(?)고 보는 의견도 있습니다.

 

 

관세 정책이 테슬라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미국 정부는 최근 대부분의 수입품에 10% 이상의 기본 관세를 부과했죠.

심지어 중국 등 특정 국가의 제품에는 최대 54%에 이르는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테슬라는 글로벌 부품 조달 비중이 높아 이러한 관세 부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배터리와 일부 핵심 부품을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어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답니다.

이러한 비용 증가는 차량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요.

이는 소비자 수요 감소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중국 시장 의존도와 보복 관세 가능성

테슬라의 매출 중 상당 부분이 중국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하여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테슬라의 중국 내 판매량 감소와 브랜드 이미지 손상 등이 우려된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 내 전기차 시장에서

현지 브랜드인 BYD, Nio, Xpeng 등이 급부상하고 있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일론 머스크의 반응과 시장의 해석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최근 미국과 유럽 사이 무관세를 주장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행보가

오히려 테슬라의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일부 투자자들은 머스크의 발언이 소비자들의 브랜드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쳐

판매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

.

.

 

25년 4월,

관세 리스크로 인해 테슬라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주가는

변동성이 굉장히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외부 요인과 기업의 내부적인 요소들 

함께 고려해서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한 때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

'STOCK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주가, 아이폰 출시마다 진짜 오를까?  (0) 2025.04.06